중학교 주기율표를 외울때 Mg로 불리던 마그네슘이 영양제로 각광을 받고 있다.
MAGNESIUM은 금속원소로 알고 있는데 건강과 무슨 관계가 있을까 싶지만 신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마그네슘효과는 뼈와 관절 건강 그리고 위눈꺼플떨림 등 근육증상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는 마그네슘권장량은 남성은 일일 370mg, 여성은 일일 280mg이라고 한다.
한국인의 마그네슘 섭취량은 남성의 경우 필요량의 50.7%, 여성의 경우 59%로 절대적으로 모자르다.
마그네슘은 경계와 근육의 이완과 수축에 관여하는 미네랄로 인체에서 4번째로 많다.
마그네슘은 섭취량도 적지만 신장이 마그네슘을 체외로 배출하기 때문에 인체에 필요한 량을 채우기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마그네슘을 따로 먹는 것이 좋다.
마그네슘영양제추천은 특정 제품보다 마그네슘종류를 살펴보고 자신에게 맞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강기능식품으로서 마그네슘효과는 에너지 이용에 필요하고 신경과 근육 기능 유지에 필요하다는 것이다.
건강기능식품으로서 마그네슘권장량은 일일 84.5mg~250mg이다.
마그네슘은 영양제가 아닌 음식으로도 섭취할 수 있다, 하루에 마그네슘 200mg을 섭취할 수 잇는 음식으로는 바나나 10개, 깻잎 3접시, 시금치 4접시, 감자 10개, 두부 반모이다.
마그네슘영양제는 MAGNESIUM 원료를 무엇을 사용하는가에 다르다.
마그네슘의 종류는 산화마그네슘, 시트르산마그네슘(구연산마그네슘) 등이 있다.
이외 트레온산 마그네슘, 말레산 마그네슘, 킬레이트 마그네슘이 있지만 국내에 유통되지 않기 때문에 제외한다.
마그네슘 종류별로 체내 흡수율이 다르다.
무기염인 산화마그네슘은 흡수가 잘 안된다.
유기염인 시트르산마그네슘은 무기염 마그네슘보다 흡수율이 높다.
킬레이트 마그네슘과 같이 2개의 아미노산이 마그네슘을 감싸고 있는 형태의 마그네슘이 흡수율이 가장 좋다.
산화마그네슘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마그네슘이다, 가격이 저렴하고 분자의 크기가 작아 식품 원료로 사용하기 적합하다.
마그네슘이 차지하는 비율은 60%정도이다.
하지만 생체이용률이 낮고 설사를 유발한다는 단점이 있다.
위장장애가 없는 사람에게 추천된다.
시트르산 마그네슘은 흡수율이 좋고 물에 잘 용해된다.
시트르산은 우리 몸의 에너지 생산에 도움이 되어 피로감을 낮추기 때문에 피로가 심한 사람에게 추천된다.
관절에 쌓인 칼슘을 녹이기 때문에 관절이 아픈 사람에게도 추천된다.
시트르산마그네슘에서 마그네슘이 차지하는 비율은 16%이다.
마그네슘 복용방법은 저녁식사 후에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그네슘은 근육과 신경을 이완시켜 숙면을 취하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제품마다 섭취방법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제품에 표시된 섭취방법을 준수하기 바란다.
허벅지근육경련, 위눈꺼플떨림, 안면떨림 등 마그네슘이 부족하다 싶은 사람들은 마그네슘영양제를 섭취할 필요가 있다.
마그네슘외 비타민D나 아연 등을 함께 함유한 영양제들이 많이 출시되었다.
비타민D마그네슘, 마그네슘아연 영양제가 그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