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저축펀드, IRP, ISA계좌에 투자하는 순서 알아보기: 절세와 세금연기혜택부터 알아보자(feat. 연말세액공제)

연말정산 시즌이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근로소득자의 경우 연말까지 소득공제, 세액공제 등을 순서대로 확인하고 1월에 연말정산등록을 완벽하게 준비해야 할 때다.
따라서 이번 포스팅은 연말정산을 위한 ‘상생전략’이 될 수밖에 없다.
‘세금 공제’ 섹션에는 많은 공간이 할당되었습니다.
그 주인공은 세액공제의 통제변수인 세 가지 저축/이연 계정이었다.
3가지 절세·이연 계좌의 특징

연말정산 세액공제 관련 세액저축·이연계정으로는 연금저축기금, IRP, ISA 등이 있습니다.
이 세 가지 계정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금 저축 기금과 IRP를 결합하여 세금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합산의 경우 최대 900만원, IRP 한도와 동일) 즉, 세액공제 한도인 900만원 전체를 납부하기로 결정한 경우 두 계좌의 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개인적으로는 연금저축기금으로 600원을 사용하고 싶습니다.
1만원 + IRP 300만원 구성을 선호합니다.
이는 운영 관점에서 계정 간에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위험자산 투자비중 차이(주식형)

연금저축펀드와 IRP의 구분은 필연적으로 개인의 투자 성향을 반영합니다.
위험자산으로 분류되는 ‘주식형’ 상품에 100% 투자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견이 있기 때문이다.
연금저축펀드와 IRP IRP와 달리 ‘은퇴 후 안정적인 삶’에 초점을 맞춘 계좌이기 때문에 안전자산 비중을 30% 이상 유지해야 한다.
하지만 ‘죽어도 지고 싶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IRP만큼 좋은 것이 없습니다.
원금을 보장하는 예·적금 상품이 있기 때문이다.
사회초년생이나 아직 투자기간이 많이 남은 30대 분들은 연금저축기금에 세금공제 한도인 600만원을 먼저 납입한 후 300만원을 납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IRP에서 승리했습니다.
나는 당신을 추천합니다.
개인연금 연간 지급한도는 최대 1,800만원!
기획재정부 연금저축펀드+IRP에 900만원을 넣는 것은 연말정산 세액공제를 받기 위한 기본적인 투자일 뿐이다.
개인연금 지급한도는 1,800만원이다.
즉, 세금공제가 가능합니다.
받을 수 있는 최대 금액인 900만원을 넣은 후, 여유 자금이 있다면 남은 한도인 900만원도 납부하는 것이 ‘매우’ 좋습니다.
그 이유는 앞서 말씀드린 절세, 세금연기 등을 통해 복리효과를 누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https://kdpost.tistory.com/21아주 기본적인 상식!
복리의 마법이 한국 SCHD와 같은 고배당 ETF에 연금저축펀드와 IRP 계좌로 투자하는 것이라고 가정해보자. 배당금 외에도 국내 상장 해외 ETF 매각 시 이익에 대해 15.4%의 배당소득세가 부과된다.
올해 배당률 3% ETF에 1000만원을 일반계정으로 투자했다가 연말 10% 인상된 가격에 팔면 세금이 부과된다.
■ 세금 1(배당금) : 1천만원 x 3% x 15.4% = 46,200원 ■ 세금 2(매출수익) : 1천만원 200,200원. 즉, 투자금을 연금저축펀드와 IRP로 옮기면 연간 20만원을 절약하고 재투자할 수 있다.
(물론 중도인출의 경우 이익에 대한 세액공제 및 기타소득세가 부과되므로 만기까지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 따라서 복리효과를 위해 900만원을 추가로 납부하셔야 합니다.
세액공제 한도 900만원을 더하면 연간 1,800만원이 된다.
를 채우는 것이 좋습니다.
여기서도 공격적인 투자를 하고 싶다면 IRP가 아닌 연금저축기금계좌로 추가금액을 납입하면 된다.
마지막 남은 퍼즐 : ISA https://inews.co.uk/연금저축펀드와 IRP 연간 적립한도 1,800만원을 충족하셨다면, ISA(여력이 되시는 분)를 적극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ISA는 매년 연말정산을 위한 세액입니다.
공제혜택은 제공되지 않지만, 3년 말에 연금저축펀드나 IRP계좌로 이체하면 최대 3천만원까지 10% 세액공제가 가능하다.
또한, 절세/이연 계좌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이에 따라 200만원 한도까지 면세되며, 해당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9.9%의 분리과세가 적용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ISA 연 납입한도인 2천만원까지 추가 납입하시면 해당 연도 기본 투자를 완료하실 수 있습니다.
정리 https://www.home-learn.co.kr/그냥 덧셈과 뺄셈일뿐 세세계좌와 이연계좌 연금저축펀드, IRP, ISA 세 가지 투자 순서를 정리해보자. ① 연금저축 600만원 → 연말정산 세액공제 한도 600만원 완료 ② IRP 300만원 → 연말세액공제 한도 900만원 완료 ③ 연금저축 900만원 → 개인연금 연 납입한도 1,800만원 완료4 ISA 2천만원 → ISA 연간 납부한도 2천만원 먼저 연간 납부한도 3,800만원을 완료했습니다.
투자했는데 아직 돈이 남아 있다면(정말?) 주식을 살지, 동전을 살지 결정할 수 있습니다.
정부가 먼저 혜택을 만들어서 나눠주는 게 맞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