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해당 기기가 자율안전확인신고 대상인지 확인하세요. 컨베이어, 산업용로봇, 믹서, 파쇄기, 연삭기 등 자율안전확인신고 대상 기기라 하더라도 해당 기기가 예외 대상인지를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
* 컨베이어의 경우 합계 이동 거리는 3미터이다.
3미터 미만인 경우는 예외입니다.
자세히 보면 1.5미터짜리 유닛 세 개가 서로 연결된 라인 컨베이어가 대상 장치인가요? 결과적으로, 연결되어 있더라도 총 전송 거리가 3미터 이상이면 대상 장치입니다.
따라서 1.5미터짜리 유닛 3개는 총 4.5미터입니다.
대상 장치입니다.
* 산업용 로봇의 경우에는 조금 다릅니다.
장비에 2축 유닛 3개가 장착된 로봇은 대상 장치인가요? 장비 중 하나라도 대상 장치가 되려면 최소 3개의 축이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장비는 2개의 축으로만 구성됩니다.
예외가 적용됩니다.
* 믹서 예외 항목 믹서에는 다양한 예외 조건이 있습니다.
외통 전체가 회전하여 제품 용량이 200리터 미만인 경우, 주모터가 1kW 미만인 제품은 자율안전확인신고가 면제되므로 신고의무가 없습니다.
* 시간당 파쇄량이 50kg 미만인 경우는 제외됩니다.
이처럼 자율안전확인신고 대상 기기임에도 불구하고 예외조건이 있으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불명확한 사항이 있을 경우 하단의 연락처로 연락주시면 친절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자율안전확인신고 진행방법 고려산업안전인증 010-8877-1182
자율안전확인신고서 작성서류 면제사항을 확인하시고 진행하셔야 하는 경우에는 준비서류를 먼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형식명(모델명) 지정사업자등록증 법인등기부 인증 기계도면(단위별 배치 및 상세도) – 컨베이어 및 로봇의 배치도 그리고 2대 이상으로 구성되는 경우 해당 단위의 상세도도 함께 작성해야 함 . 장비 사양 (대상 기계에 따라 다름) 모터 등 구동 부품 보호 장치 설치 배전반 구성 (전기 테스트 수행) 배전반에는 비상 정지 스위치가 있습니다.
반드시 설치해야 하며, 차단기의 경우 전선 연결부 상단과 하단에 커버를 설치해야 합니다.
준비서류가 준비되면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전기적 시험(절연저항, 접지 연속성 시험 등)을 실시하고 전기적 시험성적서를 작성합니다.
https://blog.naver.com/cbmkorea/222458031900
자율안전확인을 위한 필수 전기안전시험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안녕하세요? 안전한. 환영. 자율안전확인신고 기계·전기 경력 23년 레스토랑 마스터파크… blog.naver.com
위험성평가 진행사항 고려산업안전인증 010-8877-1182 자율안전확인보고서의 가장 중요한 내용입니다.
체크리스트에는 장비 제작 시 확인해야 할 주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위험 평가 양식에 기계 및 전기 분야를 기재하여 관련 조건에 따라 제조되었는지 확인하세요. 예를 들어, 컨베이어에서 기계 분야는 운전 영역, 화물 영역 및 기타 영역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구동영역은 모터와 풀리(스프라켓)입니다.
뒷부분 끝 부분에 안전 장치가 있고 측면과 아이들러 등 하부 부분에도 안전 장치가 있습니다.
모터의 위험지점(연결부)에는 반드시 커버를 설치해야 하며, 풀리의 경우에는 커버를 반드시 설치해야 합니다.
다만, 화물로 인해 커버 설치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커버를 설치해야 하는 부위를 최대한 덮어야 하며, 상부 설치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경고 라벨을 부착해야 합니다.
아이들러의 경우 벨트를 들어올렸을 때 벨트 사이의 간격은 최소 50mm 이상이어야 하며, 이것이 불가능할 경우 커버를 설치해야 합니다.
그 외 화물칸에서의 안전을 위해 양쪽 사이드 가이드를 최소 150mm 이상 올려 낙하 위험을 방지하거나, 화물을 컨베이어 중앙에 위치시켜야 합니다.
컨베이어에 사람들이 모일 수 있도록 U자형, V자형 등으로 제작되어야 합니다.
또한, 컨베이어 높이가 700mm~2500mm 사이일 경우 사람이 지나갈 수 있으므로 하단에 덮개를 설치하거나 펜스 등의 구조물을 설치하여 진입을 방지한다.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제어반이 장비에서 눈에 보이는 거리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현장에 비상 정지 스위치와 경보 장치를 설치해야 하는 의무가 있습니다.
* 경보 장치 대신 시작/정지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비상 정지 스위치는 버튼 – 빨간색, 배경색 – 노란색 규정을 준수해야 합니다.
자율안전확인 신고 – 법적 근거를 고려한 산업안전인증 010-8877-1182산업안전보건법 제89조 – 자율안전확인 신고 산업안전보건법 제92조 – 자율안전 대상 기계 등 제조 금지 검증 고용노동부 고시 제2018-54호 – 고용노동부 고시 제2017-52호 – 위험기계·설비 자율안전확인 자율안전확인신고 절차에 관한 고시 연구목적으로 제조 또는 수입하는 산업체 수출을 목적으로 개발, 제조하는 경우 안전보건법 제84조제4항에 따른 안전인증(S마크)을 받은 경우 그 밖에 조례에서 정하는 법령에 따라 안전검사 또는 인증을 받은 경우 전기용품안전관리법 제3조 및 제5조에 따른 고용노동부 인증(안전검사를 받은 경우, 농업기계화 진흥법 제9조에 따른 인증을 받은 경우, 자율안전확인신고를 진행하지 않을 경우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방폭전기기계 상호인정제도) 등에 따라 인증을 받은 제품입니다.
사용한다면? 산업안전보건법 제170조 및 제171조에 따라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명찰을 부착하지 않을 경우 1회 50만원, 2회 250만원, 3회 5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필요한 것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연락주시면 도와드리겠습니다.
나는 노력할 것이다.
감사합니다.